|
|
총 페이지수 : 33 page(표지 포함)
목차
1. 경피적 간담관 배액(Percutaneous transhepatic biliary drainage: PTBD)
2. 고주파 열 소작술 (Radiofrequence thermal ablation, RITA)
3. 간동맥화학색전술 (Transarterial chemoembolization, TACE)
4. 복막투석
5. 혈액투석- 혈액투석환자의 저칼슘식이
6. 총경관영양법(TPN) - 섭취량/배설량 (I/O) input/ output 체크
7. 항암제 투여방법 및 간호 - 오심/구토 예방식이
8. 수혈(종류 및 간호)
9. Chemo-port 관리 및 간호
10. 인슐린 주사요법
11. Nebulizer 사용 및 간호
12. 중심 정맥관 종류 및 관리
13. 폐기능 검사 Pulmonary function test(PFT)
14. 간생검 (liver biopsy)
15. 복수천자 (abdominal)
16. 늑막천자 = 흉강천자 (thoracentesis)
17. 경정맥 담관조영술(Intravenous Cholangiography : IVC)
18. 경피적 간담도 조영술 = 경피경간 담관조영검사 (PTC)
19. 기관지경 검사(Bronchoscopy)
20. 심전도(Electrocardiography : EKG)
21. 심초음파검사(Echocardiography)
22. 경피적 관상동맥 성형술(Percutaneous Transluminal Coronary Angioplasty)
23. 관상동맥우회술(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 CABG)
24. 혈관(동정맥루)관리
본문내용
1. 경피적 간담관 배액(Percutaneous transhepatic biliary drainage: PTBD)1) 경피적 간담관 배액은 수술이 불가능하거나 수술의 위험성이 높은 환자에게 간, 췌장 담관 등의 암으로 인한 담관의 폐색을 완화시키는 방법이다. 이 방법을 통해 담즙을 십이지장으로 쉽게 통과시켜서 황달과 불편감을 감소시킬 수 있다. 경피적 담관배액의 합병증으로 패혈증, 담즙유출, 출혈, 담관의 재패색 등이 있다. 그러므로 간호사는 합병증 예방을 위해 열, 오한 담즙배액 양상, 활력징후 변화, 통증, 황달의 증가 등을 관찰하는 것이 중요하다.
2) 경피적 경간 담즙배액술(PTBD)의 시술 절차
(1) 외류법
① 환자는 바로누운자세에서 필름의 상단에 횡격막을 포함하여 scout 촬영한다.
② 천자부위를 소독하고 2% 리도카인으로 국소마취한다.
③ 우측 액와선의 제 7~9번째 늑간을 21~22gauge Chiba needle로 천자한다.
④ hair wire, long needle, sheath, dilator 등을 이용해 누공부를 넓힌다.
⑤ 배액도관을 총간관 부위에 설치하고 저격촬영한다.
⑥ 담즙을 배액하고 배액도관이 빠지지 않도록 도관고정기구(stabilizer)로 고정한다
⑦ 배액도관의 끝에 배액 비닐 주머니를 연결한다.
⑧ 보호자에게 체외로 노출된 배액도관의 관리에 대해 설명한다.
(2) 내․외류법과 내류법
① 환자는 바로누운자세에서 필름 상단에 우측 횡격막이 포함되게 하여 scout 촬영한다.
② 천자부위를 소독하고 2% 리도카인으로 국소마취한다.
③ 우측액와선의 제 7~9번째 늑간을 21~22gauge Chiba needle로 천자한다.
④ Chiba needle을 간실질 내로 삽입하여 담관이 천자된 것을 확인한다.
네티즌 평가 | 이용하신 콘텐츠의 후기를 자유롭게 작성하세요. (상업적인 광고 및 도배성 글 등은 사전통보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